관리 메뉴

함께쓰는 민주주의

남한 사람들의 가짜 통일 엿보기 영화 "간큰가족" 본문

인물/칼럼/인터뷰/문화초대석

남한 사람들의 가짜 통일 엿보기 영화 "간큰가족"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8. 12. 20. 02:07
남한 사람들의 가짜 통일 엿보기 영화 "간큰가족"



 

2005년 8·15 민족대축전은 특별한 사고 없이 잘 진행되었다. 북측 대표단이 분단 이후 최초로 남측의 국립묘지를 참배하고 남과 북의 축구 경기가 벌어지며 남북 이산가족의 화상상봉이 이루어지는 시대는 기실 얼마나 놀라운 발전인가. 불과 10여 년 전만 해도 우리는 북한 김일성 주석의 사망을 애도하는 말 한마디도 함부로 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제는 한총련 의장이 북한에 다녀오고, 금강산에서 해수욕을 즐길 수도 있게 되었다. 이제 곧 개성도 하루 일정으로 다녀올 수 있게 된다고 한다. 늘 열망하면서도 과연 이루어질 수 있을지를 의심했던 일들이 하나씩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과연 통일이라는 것이 그렇게 멀리 있는 일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남과 북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이제는 통일을 하지 말아야 한다거나, 북한을 머리에 뿔 달린 사람들의 집합소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어진 것 같다. 남과 북의 만남은 이제 특별한 사건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일상이 되고 있으며, 남과 북의 통일 역시 단지 감격적인 감동으로서만이 아니라 수많은 차이를 극복하고 함께 살아야 하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쪽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통일은 어떠한 의미로 다가가고 있을까?
최근 개봉됐던 조명남 감독의 영화 <간 큰 가족>은 현재적 시점에서 통일을 생각하는 대한민국 사람들의 솔직한 내면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통일에 대한 남한 사람들의 솔직한 내면
영화의 줄거리는 간단하다. 북에 가족을 두고 온 실향민 김노인(신구)는 남쪽에서 처(김수미)와 결혼하여 명석(감우성)과 명규(김수로) 두 아들을 낳고 살면서도 늘 북쪽의 가족들을 그리워한다. 통일부에 북한주민접촉신청서를 내고 오다 계단에서 굴러 쓰러진 그는 간암 말기로 판명되어 시한부 인생을 통고 받는다. 

이때 변호사를 통해 유언장이 공개되는데 그 내용이 유별나다. 김노인이 사놓은 땅이 있는데 이 땅을 통일이 되면 남쪽의 가족들에게 물려주고, 통일이 안 되면 북쪽의 가족들에게 물려주겠다는 것이다. 남쪽의 가족들은 처음에는 땅의 가치를 알지 못해 단지 유산을 북쪽의 가족들에게 물려주겠다는 것에만 섭섭해 한다. 


그러나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땅값을 확인해본 큰 아들 명석은 그 땅의 가치가 무려 50억에 달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생각이 달라진다. 보증을 섰다 빚더미에 올라선 그는 돈에 눈이 멀어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에 효도 한번 하자.”며 3류 에로영화 감독인 동생 명규를 꾀어 가상 통일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지하실에 꾸민 스튜디오를 활용해서 통일뉴스를 만들어서 아버지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간단하게 아버지를 속인 다음 유언장 내용을 수정할 속셈이었던 그는 그러나 담당 변호사가 10일 동안 외국으로 출장을 나가면서 계획이 틀어지기 시작한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시름시름 앓던 아버지 김노인이 급속하게 건강을 회복하면서 일은 눈덩이처럼 커지게 된다. 통일이 되었다고 확신한 아버지가 꿈에도 그리던 북한에 가보겠다고 차편을 알아보고 통일에 대한 소식을 텔레비전이나 신문으로 확인하려 한 것이다. 이에 명석은 어쩔 수 없이 유산 50억의 존재를 가족들에게 알리고 이제 가족들은 합심해서 가상 통일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남북 통일 탁구가 급조되고 통일 신문이 제작되며 돈을 받으러 온 사채업자 박부장(성지루)까지 동원되어서 연일 아버지 속이기가 계속된다. 급기야는 국정원을 사칭해서 통일 시범 단지로 지정되었다는 거짓말로 온 동네 사람들까지 아버지 속이기에 결합하게 된다. 영화는 그 이후 거짓말이 들통 나고 난 뒤의 해프닝과 마무리까지 길게 이어진다.
분단이나 통일을 다룬 기존 영화들이 특별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의 드라마틱한 사건들을 통해 이야기를 풀어갔다면 <간 큰 가족>은 평범한 가족 이야기를 통해 통일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이 신선하다. 근래에 나온 <쉬리>와 <간첩 리철진>, <이중간첩>, <송환>, <선택>의 경우는 남파 간첩(공작원)의 이야기였고, <공동경비구역 JSA>는 비무장지대를 지키는 군인들의 이야기였다.

하지만 <간 큰 가족>은 손녀딸의 시선을 빌어 진행되는 가족 이야기로서 분단 대치상황을 넘어서 실제적인 통일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그런데 이 영화에서 그려지는 남쪽의 사람들은 통일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다. 가상 통일 프로젝트를 시작한 큰 아들 명석은 아버지의 유산을 노리고 일을 시작했으며, 동네 사람들 역시 포상금 1,000만 원 때문에 통일 시범단지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이에 반해 실향민인 아버지 김노인은 그동안 우리 주변에서 보여졌던 실향민들의 단선적이고 다소 부정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사려 깊고 화합지향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는 북한에 전기를 보내기 때문에 전기가 부족해서 텔레비전이 안 나온다는 거짓말에 흔쾌히 “남과 북이 나눠 써야 한다.”고 답하며, 남북 통일 탁구와 평양교예를 진심으로 응원한다. 그는 영화 내내 시청 앞 우익집회에 나가는 이들과는 다르게 진정으로 통일을 바라고 그리는 순정한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우리를 감동시킨다.

특히 평양으로 가는 차편이 뚫리기를 기다리다 못해 혼자 터미널로 나가서 불량 청소년들에게 평양행 차표를 사달라고 부탁하고는 밤늦도록 빵과 우유를 먹으면서 하염없이 기다리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가슴 깊은 곳에서 울컥 치밀어오는 눈물을 참기 어렵다. 김노인으로 분한 신구는 영화 내내 가장 자연스러운 연기를 통해 실향민의 아픔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며 영화의 중심을 잡고 있다. 결국 이러한 모습에 사채업자들과 가족들 역시 진심으로 아버지의 이산가족 상봉에 나서게 되는 것이다.

실향민의 아픔
우리는 거짓말 소재 코미디의 형식을 빌려 진행되는 영화를 보면서 영화 속에 비춰진 남한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우리에게 통일이라는 것이 어떻게 다가오고 있는지 다시 한번 묻게 된다. 혹시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면 아무런 관심도 없는 것이 지금 우리의 자화상은 아닐까?
비록 영화는 그 이상의 진지한 문제의식과 해답을 주지는 못하고 있지만 오늘 우리의 모습을 돌아보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지난달 말에 개봉된 다니엘 고든 감독의 <어떤 나라>와 비교해서 본다면 남북을 함께 이해하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서정민갑

진보적 음악운동단체인 한국민족음악인협회에서 오랫동안 일하고 있다. 공연기획, 음반제작, 음악강좌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아름다운 문화의 시대를 만들고 싶은 것이 그의 꿈이다.
문화와 관련한 자유로운 글쓰기도 즐기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