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함께쓰는 민주주의

386세대의 치열한 자기고백 문진오의 첫음반 길 위의 하루 본문

인물/칼럼/인터뷰/문화초대석

386세대의 치열한 자기고백 문진오의 첫음반 길 위의 하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8. 12. 20. 01:54

386세대의 치열한 자기고백 문진오의 첫음반 길 위의 하루

지난 호와 비슷한 질문으로 글을 시작해보자. 70년대 민중가요를 대표하는 작가가 김민기라면 80년대 민중가요를 대표할 수 있는 작가는 누구일까?
민중가요의 전성시대였던 80년대를 한 두 작가로 정리하는 것은 자칫 민중가요를 서열화하는 위험한 발상일 수 있지만, 대중적 파급력만을 놓고 본다면 단연 ‘노래를 찾는 사람들’(노찾사)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노찾사는 팀으로서 여러 장의 음반을 내며 통일된 음악적 색깔을 유지했고, 무엇보다도 당시 활화산처럼 분출했던 민주화 열기를 대변하는 ‘솔아 푸르른 솔아’, ‘광야에서’, ‘사계’ 등의 레퍼토리로 운동과 민중가요의 대중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했기에 80년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다.
결코 좋은 현상이라고 볼 수만은 없지만 지금도 사람들이 보통 민중가요라고 생각하는 노래의 대부분은 노찾사를 통해 불려진 노래들이다. 지난해 탄핵 반대 촛불집회에서도 따로 배우지 않고도 함께 부를 수 있었던 노래들의 대부분이 바로 노찾사의 노래들이었다. 노찾사는 이렇게 아직도 민중가요를 대표하는 어떤 고유명사로서 역할을 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노찾사가 민중음악에 끼친 긍정적 영향은 단순히 민중가요의 대중화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노찾사는 민중가요의 음악적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함으로써 민중가요 창작 방법론의 전범을 세웠으며, 공연기획과 팀 운영에 있어서도 체계적이고 독창적인 기획과 실험을 진행하여 이후 민중가요팀 활동의 방향을 바꿔놓았다.
뿐만 아니라 권진원, 김가영, 김광석, 명인, 신지아, 안치환 등 노찾사를 통해 배출된 창작자들은 민중가요의 흐름을 더욱 풍성하게 했고 지금까지도 그 활동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첫 앨범을 발표한 가수 문진오 역시 노찾사 활동을 통해 음악활동을 시작한 민중가요 창작자이다.
 
  1989년 정식 오디션을 거쳐 노찾사에 입단한 그는 노찾사의 핵심 보컬로 오랫동안 활동했다. 노찾사 4집에 실린 ‘노래’ 라는 곡을 독창으로 부르기도 했던 그는 결혼과 함께 노찾사 활동을 잠시 중단하고 구로지역의 직장인 노래모임인 ‘햇빛세상’에서 지금까지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90년대 후반부터 새로운 활동을 모색하고 있는 노찾사의 활동에도 꾸준히 참여하고 있으며 2001년부터는 한국민족음악인협회의 민중가요 프로젝트 밴드 ‘삶뜻소리’의 일원으로 여러 차례 일본 순회공연을 다녀오기도 했다. 그렇게 전업가수로 활동하고 있는 그가 상당히 늦은 편인 40대 초입에 들어서서야 첫 앨범을 발표한 것이다.

문진오의 첫 앨범은 청년시절 진보적 음악활동을 시작했던 이가 나이를 먹어가면서 느끼는 소회와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꿈에 대한 진지한 자기 고백이다. 거의 모든 노래를 자신의 자작곡으로 채운 그는 이제 우리가 미워했던 것들에 대한 분노보다는 자신의 사소한 일상 속에서 발견하는 소중한 가치들에 주목한다. 그는 자신의 아이가 ‘세상을 공평히 비추는 햇살이 되고 자유롭게 여행하는 바람이 되기’를 바라며(내 아이야), ‘하루가 멀다 하고 골목길을 쏘다니며 단골술집 외상술에 밤 새워 얘기하던 오랜 친구’(마흔이 다 된 나의 친구야)를 그리워한다. 그러면서도 ‘늘 푸르름으로 사는 나무처럼 푸른 꿈들을 두 팔 벌려 세상에 펼치리’(나무)라 다짐하고 ‘퇴색한 꿈이 빛나지 않을 지라도 언제나 내가 그대 곁에 걸어가고 있음’(마흔이 다 된 나의 친구야)을 알아 달라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민중가수이기 이전에 한 사람의 생활인으로서 살아가는 것의 고뇌도 숨기지 않는다. 그는 ‘지금은 사라진 많은 꿈들이 나를 흔들고 간다’(비)고 ‘살아간다는 것은 외로움을 견디는 일’(수선화에게)이라고 ‘아름다웠던 사랑도 가고 우리네 인생도 흐른다’(세월)고 읊조린다. 왜 아니겠는가? 그와 함께 음악활동을 했던 이들은 거의 대부분 음악활동을 중단했고 그는 결코 돈벌이가 되지도 유명세를 주지도 못하는 민중음악에 여전히 남아 있으니 그동안의 고충은 이미 말하지 않아도 충분할 것이다.

 

분노보다는 일상의 소중한 가치에 주목
하지만 그는 결코 이러한 삶의 고통을 과장하거나 비탄에 빠지지 않으며 타협하거나 돌아가겠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그는 자신이 경험하며 느낀 것들을 솔직하게 털어놓으면서 당장 어떤 변화를 꿈꾸지는 못하지만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살아가겠다는 생활인의 자세를 견지한다. 이것은 20년 전 세상을 바꿔냈던 386세대들이 지금 현실의 어려움 속에서도 건강한 시민으로 살아가며 우리 사회의 책임 있는 주인이 되겠다는 집단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 할 것이다. 그것은 사실 386세대의 세대의식임과 동시에 노찾사 음악이 가졌던 기본 철학이었다.
자신이 노동자라거나 투쟁하는 주체라는 의식을 갖지는 않지만 한사람의 시민으로서 역사 앞에 부끄럽지 않게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던 것이 노찾사 음악의 기본 철학이었기에 노찾사의 음악이 386세대의 노래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져 지금까지 불려지는 것이다. 노찾사에서 오랫동안 활동했던 386세대인 문진오의 음악 역시 그렇게 건강한 386세대의 의식을 반영하는 알짜배기 청장년세대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그를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김민기-노찾사-김광석으로 이어졌던 진보적 서정의 포크송 계보를 잇는 새로운 아티스트의 출현으로 기록해도 부족함이 없다.

 

386세대의 의식 반영
386세대들이 자신을 투영할 수 있는 음악이 복고적인 7080콘서트나 ‘어머나’처럼 유치한 트롯 음악이기보다는 이처럼 건강하고 치열한 세대의식을 가진 것이라면 얼마나 좋을 것인가? 나지막하지만 힘 있고 호소력 강한 문진오의 보컬은 민중음악 진영에서도 노찾사 이후 손병휘 정도만이 맥을 잇고 있는 서정가요의 흐름을 충원하는 것으로서 의미가 적지 않다. 한 곡 한 곡에서 오랜 음악생활의 관록이 넘치는 이 음반이 386세대의 새로운 주제가로 불려질 수 있기를 바란다.

 

 
<서정민갑>

진보적 음악운동단체인 한국민족음악인협회에서 오랫동안 일하고 있다. 공연기획, 음반제작, 음악강좌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아름다운 문화의 시대를 만들고 싶은 것이 그의 꿈이다.
문화와 관련한 자유로운 글쓰기도 즐기고 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