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쓰는 민주주의
우리나라 본문
민중가요-노래운동 진영에서 ‘노래패’가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 ‘노래패’는 민중가요 문화의 창조자이면서 수용자이고, 노래하는 사람과 노래를 만드는 사람, 반주하는 사람, 기획하는 사람이 섞여있는 공동체의 느낌이 살아있는 말이기도 하다. 민중가요문화에서 노래패가 중요한 이유는 집단성을 강조하던 전통과 관계가 있을 것이다. 혼자 듣고 감상하기보다 함께 노래하는 것을 보다 더 중시해온 민중가요 문화의 전통에서 노래패는 가장 중요한 기본 단위로 인식되어왔다. 그래서 민중가요문화가 시작된 70년대 말의 대학가 노래모임부터 최초의 사회 노래모임 ‘새벽’, ‘노래를 찾는 사람들’과 ‘꽃다지’ 등 수많은 전문 노래패들이 민중가요 진영의 주요한 흐름들을 만들어 왔다. |
![]() |
최근 개인 가수나 밴드의 영역이 커지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민중가요의 주요 수용자 층이라 볼 수 있는 노래모임의 모델이 된다는 점에서 전문 노래패의 활동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렇지만 이 노래패라는 틀은 몇 가지 점에서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가수, 연주, 기획 등 꽤 많은 구성원으로 팀을 이루다보니 팀을 유지하는 것 자체가 만만치 않다. 게다가 가창에서도 성부에 따른 역할 구분이 뚜렷한 합창-중창 팀이 아니라서 적절한 개개인의 어울림을 만들어가야 하는 어려움도 따른다.
최근 전문 노래패의 성원이 단촐 해지고 그야말로 소수정예로 활동을 해나가는 것은 이러한 어려움 때문이라고 본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돋보이는 활동을 보이는 팀이 바로 ‘우리나라’다. |
전형에서 벗어난 다양함으로
선후배가 함께 어우러지는 꿈 |
<유 인 혁>
유인혁이라는 이름으로 <바위처럼><우산><노래만큼 좋은 세상><이 길의 전부>등의 노래를 만들었다. 희망의 노래 꽃다지 음악감독을 지냈고 2000년부터는 유정고밴드에서 활동했다. 음악작업을 하는 틈틈이 노래에 대한 글을 연재해왔다.
'인물/칼럼/인터뷰 > 문화초대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창근 2집 (0) | 2008.12.20 |
---|---|
자연 속 일상의 감동적인 울림 이철수 판화전 (0) | 2008.12.20 |
비극의 역사를 향한 장난 같은 질문 "천년의 수인" (0) | 2008.12.20 |
386세대의 치열한 자기고백 문진오의 첫음반 길 위의 하루 (0) | 2008.12.20 |
아이들을 향한 김민기의 말 걸기 "우리는 친구다" (0) | 2008.12.20 |
뚝심으로 새긴 역사의 기억 구본주 1주기전 별이되다 (0) | 2008.12.20 |
조국과 청춘 (0) | 2008.12.20 |
노래마을 (0) | 2008.12.20 |
희망새 (0) | 2008.12.20 |
민중가요의 관습을 깬 록 밴드 천지인 (0) | 2008.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