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쓰는 민주주의
소통을 새기다 본문
|
![]() |
|
|
![]() “판화 새기는 거 처음 봐요? 난 줄곧 이걸 해왔지. 왜 판화를 하느냐고 묻는 사람들이 많았지요. 그럴 때마다 나도 내게 물었어. 30년 넘게 해왔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내 답은 하나야.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이것밖에 없어서...” 그러고는 길게 담배연기를 뿜어내시고는 담배를 손가락에 끼운 채 다시 칼질과 이야기를 이어가셨다. “우리집은 있잖아요. 누가 고급 스테이크 재료를 가져와서 요리를 해준다고 해도 그걸 담아낼 그릇이 없어요.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그냥 된장찌개에 밑반찬을 담아내는 게 전부야. 다만 그걸 얼마나 정성스럽게 담느냐, 어떤 마음으로 담느냐 그런 게 중요하겠지. 그런 거예요. 내게 있어서 판화라는 거.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이것밖에 없다는 거... 그런데 사실 판화가 중요한 건 아니지요. 더 중요한 건 이야기예요.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이야기에만 관심이 있어요. 그래서‘판화가 아니면 안 된다’그런 생각은 하지 않지요.” 첫 번째로 준비한 질문이“데뷔 30년째를 맞는 판화가 이철수에게 판화는 무엇인가?”였는데, 묻지도 않은 질문에 선생님께서 자문자답을 한 셈이었다. 나직나직이 이어지는 말씀을 그저 듣고 있으려니 어느새 새기고 있는 목판 위에 숲이 조금씩 윤곽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작품의 주제로 넘어가고 있었다. “20대 때에는 판화가 가진 힘을 좋아했었던 거 같아요. 게릴라적이라고나 할까? 그것이 가진 완강한 힘을 좋아했지요. 그래서 판화가 가진 힘을 가지고 이야기를 했던 거지. 군사정권의 폭력, 민중들의 고단한 삶을 변화시켜서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으로 가자고 말이야. 그러다가 1988년에 독일에서 전시회를 열 기회가 생겼는데 그때의 경험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하더군. 한동안 말을 할 수 없었다고나 할까? 그래서 잠시 작품이 뜸하기도 했지.” 손은 쉬지 않고 움직이면서 가끔 담배를 빨고 다시 손에 끼고 작업을 하면서도 말씀은 끊일 듯 이어졌다. “그즈음 생각해보니 판화는 단순한 장르가 아니더라고. 따뜻함과 섬세함을 다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야기를 담을 수도 있는 장르야. 그러고 보니 미술이 갖추어야 할 모든 것이 다들어있더라고. 힘만이 아니라 말이야.” ![]() “80년대 후반과 90년대로 접어드는 그 시절은 방향을 잃고 있을 때 세상으로부터 변화의 공간을 만들어가야 하는데 이를 뒷받침해줄 물리적 힘도 없었고... 결국 그림으로 해결 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된 거지. 그때 붙잡은 것이 바로‘마음’이야.” 처음 마음에 관심을 천착할 때는 다분히 불교적이고도 상투적인 의미의 마음이었다. 하지만 점차 생각이 정리되면서 앞으로 우리들의 삶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그러면서 가져야 하는 마음으로 조금씩 구체화되었다. “그것이 바로‘생명’이고,‘평화’야. 한번은‘새는 좌우의 날개로 나는 것이 아니라 온몸으로 난다’고 엽서를 보낸 적이 있어요. 좌우의 날개로 나는 것이 틀렸다는 게 아니라‘온몸’으로 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는 거였어. 살아보면 좌우를 뛰어넘는 삶의 문제가 바로 생명이고 평화잖아요. 이번 일본 원전으로 인한 피해가 어디 좌파나 우파 어느 한 군데의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모두의 문제예요. 그런 인식이 필요해.” 그는 좌파와 우파 등 사람을 구분 짓는 그 어떤 표현도 극복하고 싶다고 하셨다. 그래서 그가 말하는 온몸은‘혼신을 다한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본질적이지 않는 구분과 차별이 없는 세계이기도 하고, 미성숙한 것을 포함하는 세계이기도 하다. “팔이 하나 없어도, 다리가 하나 없어도 온몸은 온몸이잖아요. 그래서 온몸은 전존재이자 전인격이자 온전한 생명이라고 할 수 있겠지.” 선생님께서 바라시는 세상은 어떤 것일까 여쭸더니 아주 간단한 답이 돌아왔다. |
“먹고 사는 게 민주주의로 해결되는 세상이라고 할까? 형식적 민주주의, 민주주의적 형식이 전부가 아니고 건강한 생각으로 밥 벌어 먹게 하거나 안 좋은 미래를 선택하지 않아도 좋은 세상이지. 진정성이 성공하는 사회로 나아가는 게 절실히 필요한 때인 거 같아요.” 그래서 선생님은 요즘 부쩍 마음을 나누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고 하셨다. “살아가는 것 자체가 피곤한 사람들로 가득한 우리나라에서 상황은 점점 심각해지는데 아무도 말하지 않으려는 것 같아요. 이야기 잘하시는 분들이 있잖아. 그분들이 말씀 하시길 기다렸는데... 아무리 기다려도 말씀이 없으셔서 나라도 하려고요. 요즘 사람들이 내게 이야기가 좀 많아졌다고 해요. 하지만 자연스럽게 하는 게 중요하다고 봐요. 정말 필요한 이야기라면 이제는 좀 하려고... 그래서 그림을 통해서 엽서형식으로 띄우는 <나뭇잎편지>를 통해서 더 많이 이야기 하려고 해요. 함께 각성하고 삶의 변화를 함께 이끌어가는 것, 그래서 운동이 삶 그 자체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 사회가 물질로 황폐해졌는데도 모두 침묵할 뿐 아니라 더러 거기에 맞춰 살라고 하는 걸 보면서 당신이라도 적극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한 심정이지 않았을까 싶다. “폭력적인 권력에 의해 죽어나간 사람보다 시장경제에 의해 죽어가는 사람이 몇 배는 많을 거야. 지금 자살하는 사람들이 정말 죽고 싶어 자살을 하겠어요? 타살이지...” ![]() 함이 어떤 것인지 가늠이 되었다. 인터뷰 아닌 인터뷰는 여섯 시간이나 계속되었다. 아니 여섯 시간 동안 참 귀한 이야기를 듣고 있었다. 묻지 않아도 아니 섣부른 질문을 하지 않아도 듣고 싶은 이야기들을 다 들은 셈이다. 그 사이 찾아온 손님들과 함께 점심을 먹기도 하고, 사모님께서는 깔끔하게 차려진 다과와 차를 세 번이나 내오시기도 했다. 전시회가 얼마남지 않은 터라 작품을 선정하고 마무리 작업을 하시는 일로 말씀하시는 내내 분주하셨지만, 종종 칼끝으로 집중하던 눈을 들어 안경 너머로 따뜻한 시선을 보내주신 터라 시골 외삼촌댁에 내려온 느낌이었다. 출판계 17년을 지낸 필자의 이력을 들으시고,“김 선생 이름이 우리 아들 이름과 같아서 놀랐는데, 어떻게 그동안 이렇게 가까운 사람들을 서로 알면서도 못 만났지? 그것도 놀랍네.”하시던 모습도 5월의 햇살이 넉 넉히 부려지는 시골집처럼 잊히질 않는다. |
'인물/칼럼/인터뷰 > 문화초대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립음악가 회기동 단편선 - 세상의 게으름을 위하여 (0) | 2011.04.11 |
---|---|
밥 한번 먹자 - 가수 채환의 해피싱어 프로젝트 (0) | 2011.03.15 |
겨울에도푸르른겨우살이처럼 (0) | 2011.02.10 |
사랑할 수 없는 시간 - 다큐[진실의 문]을 찍으며 (0) | 2011.02.10 |
로스트 라이온즈 - 탐욕에 눈먼 인간들에게 던지는 경고 (0) | 2011.02.10 |
80년대 민중가요의 아이콘 윤선애 씨를 만나다 (0) | 2011.02.10 |
늘 푸른 세상을 향한 되살림 행동 (0) | 2011.01.24 |
토끼의 낮잠 -다종예술가 임의진의 새해 소망 (0) | 2011.01.24 |
배움이 즐거운 곳 (0) | 2011.01.05 |
프렐류드만의 멋진 음악 앞으로도 기대하세요 (0) | 2011.01.05 |